티스토리 뷰
드디어 한국에서 국내산 1호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제가 생겼습니다. 셀트리온에서 만든 항체치료제 렉키로나주 (CP-P59)가 그 주인공입니다. 아직 2상 승인 결과까지만 났는데 왜 설레발이냐고요? 사실상 이번 관문을 통과하면 허가이기 때문이죠. 오늘은 이 치료제가 밟은 과정, 가격, 효과 등 지금까지 나온 모든 정보들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아주 좋은 결과가 나왔다
첫째, 아직 3상 남았는데요?
2021년 1월 13일 오후 6시에 대한약학회가 주최하는 학술대회 2021 하이원 신약 개발 심포지아에서 가천대 길병원 엄중실 감염내과 교수는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진행하는 셀트리온 렉키로나주의 2상 임상실험 내용을 발표했습니다. 뒤에서 자세히 알려드리겠지만 결과는 아주 좋았기 때문에 허가 절차를 밟게 될 예정입니다. 이전부터 여기서 효과와 안전성이 입증되면 바로 허가 절차를 밟게 될 예정이었으며 승인도 1월 말까지 될 가능성이 높은 상태였어요. 원래 약품은 3상까지 검증작업을 마쳐야 하는 것이 정석적인 행보지만 렉키로나주의 경우 임상 2상을 3상과 비슷하게 설계했기 때문에 '신속 조건부 허가 대상'이라고 하네요.
1상 결과 어땠는지 보기
2) 1상 결과는 어땠나요?
저번 1상 시험에서는 안전성과 내약성, 약동학을 모두 검증했다는 결과가 나왔었습니다. 안정성이란 의미는 다들 아시겠고, 약동성이라는 뜻과 약동학은 모두 잘 모르시겠죠? 내약성은 '환자가 약물 투여 받았을 때 부작용이나 불편함을 견딜 수 있는 정도'를 말합니다. 약동학은 '체내에 흡수되면 표적 기관으로 얼마나 빠르게, 얼마간 머무를지'에 대한 개념이고요. 즉 우리가 먹고 잘 견딜 수 있고, 바이러스를 제대로 포착하여 빠르게 흡수하여 싸울 수 있는 약이라는 것이 확인된 셈이죠.
셀트리온 주가 엄청 뛸듯
3) 그래서 얼마죠?
언론에서는 CP-P59의 가격이 1회당 40만원으로 예상된다는데요. 얼마 전 당정은 이를 국내 환자들에게는 백신과 마찬가지로 무상 공급할 것이라고 이야기 했습니다. 물론 외국에서는 훨씬 비싸게 팔 것 같아요. 셀트리온보다 빠른 단계를 밟고 있는 리제네론 파마슈티컬스(REGN)이나 일라이릴리(Eli lilly)의 도나네맙 거래 자료를 통해 추정치를 계산할 수 있었는데요. 그들은 1도즈에 약 140만원 정도로 계약한 내용이 있더라고요. 효과 차이가 별로 안 나면 100만원 안팎일 것 같고, 엄청난 차이를 보여준다면 그 이상의 가격으로도 판매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수출효과도 클 것 같다
'시사 &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 바이든 대통령 대북 정책 그리고 향후 미국 북한 관계 예상! (0) | 2021.01.18 |
---|---|
한국 G10 합류? G7 회의에 초청 받은 이유와 전망! (0) | 2021.01.17 |
LG 연설자 김래아 (Reah Keem) 누구? 정보와 인스타그램 아이디 공개! (0) | 2021.01.12 |
불건전한 성문화, 알페스(RPS)의 뜻과 BL과의 차이점은? (0) | 2021.01.12 |
코시국에도 해외 헬스장은 영업을 하고 있을까? (0) | 2021.01.10 |